조화로운 공존의 미학, 성다솜의 "각각의 우리"
블로그에 글을 쓰며 예술 속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공동체의 의미를 상기시키는 것은 언제나 매력적입니다. 마치 모방되는 기사에서 언급된 것처럼, 새로운 시각적 은유가 예술의 힘을 통해 전달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서울에 있는 유나갤러리에서 열리는 성다솜 작가의 개인전, <각각의 우리>는 그 다양성이 조화로운 공동체의 형태로 묘사되는 공간입니다. 5월 15일부터 시작되는 이 전시에서는 40여 점의 작품이 선보이며, 그중 8점이 신작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식물 형상과 조형 언어를 통해 공동체와 존재의 방식을 탐구한 작품들이 눈에 띕니다.
성다솜은 우레탄, 포맥스, 아크릴 등 다양한 재료 위에 식물 요소를 활용하여 회화적 릴리프 형식을 구현했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평등하고 상호 연결된 생태적 존재론을 이야기하며, 감각적으로 관계와 돌봄의 의미를 드러냅니다. 식물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험에서 나오는 감정의 층위까지 확장되는 그의 작업은 깊은 울림을 줍니다.
본문에서 인용한 사진과 기사처럼, 성다솜의 작품 속 식물들은 구체적인 메시지를 강요하지 않고, 각자의 방식으로 조화롭고 자연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공동체를 상징합니다. 이번 전시는 곧 사라져가는 공동체의 가치를 시각적으로 은유하며,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윤리를 회화적으로 실현합니다.
"우리"가 아니라 "각각의 우리"라는 제목 자체가 개별성과 다양성의 조화를 시사합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식물을 넘어 사람들 사이의 지속 가능하고 평등한 관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성찰해보세요.
성다솜의 작품은 단순한 생태적 감수성을 넘어 사회 전반에 걸쳐 우리가 잊고 있었던 존중과 돌봄의 감각을 일깨우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유나갤러리의 이번 전시에 많은 이들이 참여하여, 현대 사회의 공동체 속에서 각자의 자리를 찾아가는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시길 바랍니다.
Harmony between Diversity: Seong Dasom's "Each of Us"
Writing for a blog about art and the relevance of community within it is always enticing. Just like the referenced article, Seong Dasom's exhibition showcases how new visual metaphors convey the power of art.
The solo exhibition,
Dasom employs materials like urethane, foamax, and acrylic to create a painterly relief format. Her compositions speak of an interconnected ecological ontology, revealing the beauty of relational care. Extending beyond mere plants, her art transcends into layers of social experience, providing deep resonance.
Just as the photographs and articles suggest, the plants in Dasom's works do not impose concrete messages. Instead, they symbolize communities living harmoniously in their unique ways. The exhibition tastefully metaphorizes the disappearing value of community and visually actualizes the ethics our society should strive for.
Her work gently opens one to the sense of respectful, caring coexistence that stretches beyond botany and beckons for a sustainable, equitable relationship among humans. Through this exhibition, may visitors to Unaw Gallery rediscover the meaning of finding one's place within a contemporary community.
Seong Dasom'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