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나 갤러리, 강해찬의 시적 회화를 조명하는 개인전
2025년 7월 3일부터 8월 23일까지, 유나 갤러리는 현대 미술 애호가들이 기다려온 강해찬 작가의 개인전
강해찬은 대기 중의 습기와 빛의 흐름을 통해 실물 풍경이 아닌 순간의 감각을 표현하는 '감각의 회화'를 구축해 왔습니다. 마치 여름 밤의 온기를 닮은 그의 작품들은, 경험으로 느꼈던 순간의 잔재들을 시각적으로 조합하여, 고요하고도 풍부한 감성을 전달합니다.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그의 작품이 보여주는 시적 감각의 정수인 보이지 않는 경계를 넘나드는 표현입니다. 작가는 기존의 풍경화를 넘어, 장소가 아닌 시간의 흐름과 감각을 포착하는 회화적 언어를 전개합니다. 가령, 특정한 장소가 아닌, 해질 무렵의 황혼이 주는 공기와 냄새의 흐름을 화면에 담아내며, 비침으로 이뤄진 회화 층을 통해 보는 이로 하여금 공간의 무게를 느끼게 합니다.
이번 전시에서 강해찬은 인터피어런스 물감을 활용하여, 각도에 따라 색채와 광택이 변화하는 효과를 통해 시간의 유동성을 강조합니다. 이처럼 작가의 신작들은 복잡하고 변화무쌍한 감각의 흐름을 회화적으로 기록하며, 이미지를 고정된 것이 아닌 감각의 전이로 인식하게 만듭니다.
드로잉 습작부터 최근 작품까지 다양한 연대의 작업들을 선보이는
UNAW GALLERY presents Haechan Kang’s Flowing Moonlight
From July 3 to August 23, 2025, UNAW GALLERY invites art lovers to delve into the sensory landscapes crafted by Haechan Kang in the solo exhibition Flowing Moonlight. This exhibition is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how Kang captures the intertwined essence of light, air, and time to create atmospheric art.
Haechan Kang reinterprets landscapes by focusing not on place, but on the subtle textures of moments—like the tenderness of summer evenings. In his work, sensations from moments lived transmute into layers of visual expression, capturing the ephemeral with poetic depth.
Central to this showcase is Kang’s special focus on invisible boundaries. By transforming the traditional genre of landscape into a depiction of sensory and temporal flux, he allows the audience to sense the weight of a space rather than merely see it. His artworks capture the moisture and glow of dusk air, inviting viewers to experience the emotional resonance of moments that hover between reality and memory.
Kang utilizes interference pigments, which change color and sheen from different angles, to emphasize the fluidity of time in his works. This technique disrupts the notion of paintings as static objects, instead presenting them as transitional landscapes of sensation.
With pieces ranging from early sketches to recent developments, Flowing Moonlight is a testament to Kang’s evolution as an artist deeply invested in the perceptual dimensions of painting. This exhibition opens a vibrant dialogue inviting viewers to engage with the unexpressed layers of their own sensory experiences within a uniquely ambient setting.